포테이토 앨리에서의 일상 | Life in Potato Alley(PT#2)

From Private Rooms to Public Life: Understanding Privacy Tiers in Spatial Design

프라이버시 티어가 공간 경험을 만드는 방식

Privacy Tiers는 단순히 공간을 나누는 분류 체계가 아니라, 인간의 행동 변화, 관계의 밀도, 정서적 리듬이 어떻게 공간의 층위를 따라 이동하는지를 설명하는 하나의 구조적 사고 프레임이다. Private → Semi-Private → Semi-Public → Public으로 이어지는 이 네 단계는 거주자가 혼자 있음의 회복에서 도시적 연결의 확장까지 경험하는 감각적·심리적 여정을 담아낸다.

Privacy Tiers is not merely a spatial categorization but a structural framework that explains how shifts in human behavior, relational density, and emotional rhythm occur across spatial layers. Moving from Private to Semi-Private, to Semi-Public, and eventually to Public, the model traces the sensory and psychological journey from solitary recovery to urban connectivity.

[Private]

The Essential Human Space / 인간에게 필수적인 공간

Private 영역은 인간이 외부 세계와 다시 관계 맺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기저(基底) 공간이다. 이곳은 단순히 혼자 머무르는 방이 아니라, 인간이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소모된 에너지를 재충전(recharge), 정렬(realignment), 재구축(rebuild)하는 심리적 플랫폼이다.
‘혼자 있음’은 결핍이 아니라 인간이 본래의 리듬을 찾는 과정이며, 감정의 압력을 해소하고 새로운 사고가 발현되는 가장 높은 해상도의 개인영역이다.

침대에서의 회복, 변기에서의 해방감, 책상 앞에서의 집중, 옷장을 열며 스스로를 선택하는 행위 등 Private의 기능들은 모두 **자기 경계(self-boundary)**를 다시 세우는 과정이다. 이 영역은 물리적 장치 이상의 역할을 하며, 존재의 가장 깊은 층위에서 인간을 ‘하나의 완전한 주체’로 돌려놓는다.

The Private realm is the foundational zone that individuals must pass through to reconnect with the external world. It is a psychological platform where energy consumed through social interaction is recharged, realigned, and rebuilt.
Solitude is not deprivation but a process of rediscovering one’s natural rhythm—an emotional decompression chamber and a cradle for new thinking. Bed, toilet, wardrobe, desk, and other elements collectively restore self-boundaries and return the individual to a complete state of being.

[Semi-Private]

Where Minimal Social Interaction Begins / 최소한의 사회활동이 시작되는 공간

Semi-Private은 Private에서 벗어나 가장 먼저 **사회적 감각(social sensibility)**이 발현되는 층위다. 이웃과의 눈맞춤, 짧은 인사, 문을 열고 닫는 소리, 공용 규칙에 대한 암묵적 동의 같은 작은 행동들이 이 공간을 통해 일어난다. 이곳은 ‘나’만의 공간에서 ‘우리’의 공간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는 사회적 전이의 첫 단계이다.

공용 세탁실, 공유 주방, 라운지, 테라스 등은 ‘완전한 외부’로 나가기엔 부담스럽지만 Private에 두기엔 비효율적인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Semi-Private은 도시 거주자가 가장 자주 오가는 **기능적 완충지대(functional buffer)**가 되며, 이 층위에서 공유 인프라는 단순한 편의시설을 넘어 미세한 공동체감을 생성한다.

Semi-Private is where early forms of social sensibility emerge. Small gestures—eye contact, greetings, shared routines—signal the shift from “my space” to “our space.” Shared kitchens, laundry rooms, terraces, and lounges form a functional buffer, enabling light communal interaction without the pressure of full public exposure. This zone fosters a subtle collective awareness essential to contemporary multi-unit living.

[Semi-Public]

The Interfa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 내부와 외부가 만나는 접점

Semi-Public은 거주자와 외부인이 자연스럽게 만나며 **도시적 공존(urban coexistence)**을 실험하는 중간 단계이다. 카페, 레스토랑, 짐, 목욕탕, 공유 오피스, 작은 서점, 혹은 공용 정원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개인의 생활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도시의 맥락과 연결된다.

이 층위는 Private 기반의 회복된 에너지가 외부 세계와 재접속(reconnection)되는 지점이다. 즉, Semi-Public은 도시 경험의 ‘관문’이며, 거주자가 생활권을 확장하는 데 필수적인 사회적 플랫폼으로 작동한다.

Semi-Public is the stage where residents and outsiders naturally mix, creating a zone of urban coexistence. Cafés, restaurants, gyms, bathhouses, co-working spaces, and communal gardens enhance both personal living quality and connection to the city. It is the gateway through which restored private energy re-enters the urban fabric.

[Public]

Expansion of the Living Territory / 생활지역의 확장

Public은 단일 건물을 넘어선 거주 생태계의 확장된 무대이다. 길, 공원, 거리 상점, 대중 교통, 지역 커뮤니티 공간 등이 포함되며, 이는 거주자가 일상의 일부를 사회 전체와 공유하는 도시적 호흡의 영역이다.

Potato Alley Project가 지향하는 핵심 가치도 여기에 있다. ‘거주지의 확장성’이다. 예컨대 연남동의 거주자가 제주 지점에서도 유사한 Semi-Public 기능과 커뮤니티를 사용할 수 있다면, Public은 단순히 바깥이 아니라 **확장된 집(extended home)**이 된다.

Public is the expanded stage of the living ecosystem—streets, parks, transit, local shops, and community zones. It forms the urban respiration through which inhabitants share parts of daily life with society. In the Potato Alley Project, Public becomes an extended home where similar amenities and networks connect multiple locations such as Yeonnam and Jeju.

Adaptive Private Rooms in Compact Urban Living

도시 소형 주거에서의 적응형 개인실

쿠로사와 타카시의 개실군주거 이론은 좁은 개인실일수록 공간의 가치는 **‘고정된 넓이’가 아니라 ‘변환의 능력’**에서 결정된다고 본다. 폴더블, 이동식, 모듈형 가구는 단순한 옵션이 아니라 공간 전환(space transformation)의 핵심 장치다.

책상을 펼쳐 ‘집중 모드’로 전환하는 순간, 이불을 깔아 ‘휴식 모드’가 되는 순간, 트레드밀을 꺼내 ‘활동 모드’를 만드는 순간—공간은 사용자에 의해 끊임없이 재구성(new configuration)된다.
즉, 개인실은 Motion A와 Motion B—인간의 두 가지 기본 동작 축—에 따라 매 순간 새로운 조합을 만들어내는 작은 실험실이 된다.

Takashi Kurosawa’s theory of room-based dwelling argues that the value of compact rooms lies not in their fixed area but in their capacity for transformation. Foldable, movable, and modular furniture serve as the core instruments of space transformation.
Each action—unfolding a desk, spreading bedding, setting up a treadmill—produces a new configuration, turning the room into a laboratory shaped by Motion A and Motion B.

Extending Private Functions into Semi-Private Space

세미-프라이빗 공간으로 확장되는 개인 기능

대도시에서 1인 가구 증가와 높은 임대료는 Private 면적의 지속적인 축소를 가져왔다. 이제 Private만으로 모든 기능을 담기 어렵고, 일부 기능은 자연스럽게 Semi-Private로 이동한다. 이 현상은 단순한 공간 부족이 아니라 도시적 거주 패턴의 재구성으로 볼 수 있다.

공용 세탁실, 라운지, 운동 공간, 공유 주방은 Private의 부족한 기능을 보완하며 **생활 밀도(living density)**를 조절하는 장치가 된다. Privacy Tiers는 이때 단순한 구분 체계가 아니라, 압축된 도시 환경 속에서 **역동적으로 대응하는 구조(dynamic system)**로 작동한다.

In dense cities, shrinking private room sizes push certain functions into the Semi-Private tier. Shared laundry rooms, lounges, fitness areas, and communal kitchens compensate for limited private space and regulate living density. In this context, Privacy Tiers is no longer a boundary model but an adaptive structure responding to urban compression.

Previous
Previous

현대 가족, 새로운 집의 모습 Modern Families, New Residential Design

Next
Next

Potato Alley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