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와 체류의 지역 단위 재조합 | Potato Alley: Reconfiguring Living and Stay at the Neighborhood Scale
포테이토 앨리에서의 ‘머무름’ 재해석 / Reframing the Act of Staying in Potato Alley
도시에서의 머무름 변화 / Changing Patterns of Staying in Cities
오늘날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머무르는 방식’**은 과거와는 조금 달라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전통적인 주거는 하나의 건물 안에서 모든 기능을 해결하는 것이 당연했으며, 호텔과 호스피탈리티 공간은 일시적 체류를 위한 표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현대 생활이 점점 유동적이 되어감에 따라, 잦은 이동, 유연한 근무 환경, 장·단기 **도시 유목민(Urban Nomad)**의 증가 등으로 인해 ‘거주’와 ‘체류’의 경계가 이전보다 흐려지는 듯하다.
Potato Alley 프로젝트는 이러한 변화된 맥락에서 출발하며, *도시에서의 머무름이 꼭 한 건물 안에서 완결되어야 할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In contemporary cities, the way people stay—for a night, several months, or even years—appears to be shifting. Traditional housing once assumed permanence, gathering all functions inside a single building, while hotels and hospitality spaces offered standardized services for temporary stays. As modern life becomes increasingly fluid—with frequent relocations, flexible work patterns, and the rise of long- and short-term Urban Nomads—the boundary between “residing” and “staying” seems less rigid.
The Potato Alley project starts from this context, exploring whether staying in a city must be confined to a single building.
배경: 왜 ‘지역’ 단위인가? / Background: Why a Neighborhood, Not a Building?
전통적인 주거 모델은 침실, 욕실, 수납, 생활공간 등 모든 기능을 하나의 건물 안에서 해결한다고 보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현대 도시인의 삶에서는 이러한 기능들이 이미 도시 전체로 분산되어 있는 듯하다. 카페, 코워킹 스튜디오, 헬스장, 동네 가게, 공공 공간 등에서 일상 루틴이 이루어지며, 집의 기능이 도시 전반으로 퍼져 있는 사례가 관찰된다. 또한 단순 이동 동선으로 여겨졌던 **골목(Alley)**은 사람들이 만나고, 지역 경제와 문화가 발생하며, 다양한 사람들 간 관계를 매개하는 사회적·기능적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Potato Alley는 이러한 도시적 잠재력을 활용하여, 지역 단위에서의 새로운 머무름 시스템을 탐색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Traditionally, housing presumes that bedrooms, bathrooms, storage, and living areas coexist in a single structure. Yet in modern urban life, many of these functions appear externalized across the city. Daily routines often unfold in cafés, coworking spaces, gyms, local shops, and public areas, effectively distributing home functions. Moreover, alleys—once considered mere circulation paths—seem to act as social and functional interfaces, shaping encounters, micro-economies, and relationships among locals and visitors. Potato Alley treats this urban condition as an opportunity, exploring a neighborhood-scale system of staying rather than a single-building solution.
프로젝트 개념 / Concept
Potato Alley 프로젝트의 핵심 아이디어는, 주거와 체류 기능을 하나의 건물에 모두 압축하기보다는, 지역 단위로 재배치해보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건물, 골목, 주변 서비스가 연결되어 하나의 **확장된 머무름 시스템(Extended Stay System)**을 만들 수 있을 듯하다.
이 시스템은 두 가지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Potato Alley Living: 중·장기적으로 거주하는 Urban Nomad을 위한 생활 유닛
Potato Alley Stay: 단기 체류자나 여행객을 위한 체류 유닛
두 시스템 모두 휴식을 목적으로 하지만, 머무는 기간과 서비스 밀도, 일상 루틴에서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The core idea of the Potato Alley Project is to deconstruct living and staying functions from a single building and reorganize them across a defined neighborhood. This could create an Extended Stay System, where buildings, alleys, and local services form a connected network.
The system could operate in two forms:
Potato Alley Living: long- to mid-term living units for Urban Nomads
Potato Alley Stay: short-term accommodation for visitors or residential nomads
Both aim to provide rest, but differ in duration, service intensity, and daily routines.
휴식을 위한 공간 / Spaces Built for Rest
휴식을 위해 만들어진 공간은 전통적으로 주거와 호스피탈리티로 나뉘지만, 실제 구성은 거의 비슷하다: 침대, 욕실, 수납, 작은 업무·휴식 공간. 차이점은 주로 머무는 기간과 서비스 접근성에 있을 수 있다. 장기 거주는 수납과 일상 루틴을 위한 구조가 필요하고, 단기 체류는 편리함과 서비스 접근성이 중요할 수 있다. Potato Alley는 이러한 공통성과 차이를 동시에 고려하여, 도시 단위로 프로그램을 재배치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할 수 있다.
Spaces designed for rest traditionally fall into housing and hospitality, yet spatial layouts are often similar: bed, bathroom, storage, small work or rest areas. Differences mainly appear in duration and service access. Long-term living may require capacity for storage and daily routines, while short-term stays prioritize convenience and access to services. Potato Alley consider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xploring how these programs might be reorganized at a neighborhood scale.
해체와 재조합 / Deconstruction & Reorganization
모든 기능을 한 건물에 압축하기보다는, 기능을 여러 구조물과 골목 네트워크로 분산시킬 수 있을 듯하다.
각 요소는 잠재적 핵심 기능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Living Cluster (LC): 수면, 샤워, 세탁, 개인 수납, 일상 루틴 등을 지원. 골목에 분산되어 주민이 주변 환경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 가능
Alley & Low-rise Network: 반공개·공동 기능(워크숍, 라운지, 마켓, 공동 주방, 소규모 서비스) 호스팅. 골목 활성화
STAY Tower (Central Hub): 단기 체류에 필요한 기능 집중(체크인, 컨시어지, 공유 샤워, 수하물, 방문자 지원). 단기 체류자를 위한 운영 중심 역할
이 접근 방식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장기 거주는 분산, 단기 체류는 집중화되면서도 모두 골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Rather than compressing all functions into one building, Potato Alley could distribute them across multiple structures and the alley network.
Each part might focus on a core function:
Living Cluster (LC): sleeping, bathing, washing, personal storage, daily routines, dispersed in the alley for natural neighborhood interaction
Alley & Low-rise Network: semi-public and communal functions—workshops, lounges, markets, shared kitchens, small services—to activate the alley socially and spatially
STAY Tower (Central Hub): concentrates functions for short-term stays—check-in/out, concierge, shared showers, luggage support; acts as an operational hub for temporary guests
This could create a hybrid system: long-term living is distributed, short-term staying is centralized, yet both are connected via the alley.
이런 체류형 포테이토 앨리는 인구가 줄어드는 인구 소멸 지역에서, 인구 유입을 촉진하는 장치로서의 잠재적 역할을 가질 수 있을 듯하다. 사실 이 개념은 낯선 것이 아니라, 이탈리아의 Albergo diffuso와 유사하며, 포테이토 앨리 Stay의 개념과 거의 동일하다. 이미 여러 지역에서 실행되어 의미 있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정리한 내용들은 세상에 없는 완전히 새로운 제안이라기보다, 나의 생각과 관찰을 정리하고 연결해 보는 과정에 가깝다고 볼 수 있을 듯하다.
This kind of stay-oriented Potato Alley might have the potential to act as a mechanism for attracting population in regions facing demographic decline.
In fact, this idea is not entirely unfamiliar; it is similar to Italy’s Albergo diffuso, aligning closely with the concept of Potato Alley Stay, which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in some areas with notable results.
Thus, the content summarized here may not be a wholly new proposal, but rather a process of organizing and connecting my thoughts and observ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