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dea Behind The Ideacouch Logo

Vitruvian Man,  Leonardo da Vinci, 1490

When Movement Becomes Space

움직임이 공간이 되는 순간

1. Rethinking the Vitruvian Man

Vitruvian Man을 다시 바라보다

Leonardo da Vinci’s Vitruvian Man has long been interpreted as a symbol of perfect human proportion. But from the perspective of someone who designs space, I began to see it a little differently — not merely as a study of proportion, but as a metaphor for the principles of human movement.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Vitruvian Man은 오랫동안 ‘완벽한 인체 비례’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공간을 다루는 사람의 시선에서 보면, 그것은 단순히 비례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인간 움직임의 원리’**를 상징하는 은유로 보이기 시작했다.

2. Two Principles of Human Motion

인간 움직임의 두 가지 원리

The human body moves based on two fundamental systems. The first is the rotational motion centered around the joints — an intrinsic movement that unfolds around the spine and pelvis. I call this Motion A. It allows for precise, focused, and internalized gestures that form the basis of our subtle actions.

인체는 두 가지 기본적인 움직임의 원리에 의해 작동한다. 첫 번째는 관절을 축으로 한 회전 운동으로, 척추와 골반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내재적 움직임이다. 나는 이것을 Motion A라고 정해본다. 세밀하고 집중적인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움직임이다.

The second is the translational movement, which changes the position of the body in space. This is Motion B — movement with direction, extending one’s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Standing up, walking, running, or reaching out to something — all belong here.

두 번째는 신체의 중심이 실제로 이동하는 외재적 움직임, 즉 Motion B이다. 이 움직임은 공간 속에서의 위치를 변화시키며, 인간이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관계의 범위를 확장하도록 한다. 앉았다 일어나거나, 걷고, 달리고, 손을 뻗는 순간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3. A Rhythm Between A and B

3. A와 B 사이의 리듬

When we think about daily life, everything seems to be a combination of Motion A and Motion B. Reading a book, writing, or sipping coffee are moments dominated by Motion A. Standing up, walking, or moving to another place activate Motion B. Cooking, playing sports, or dancing blend the two — creating a rhythm of interaction between inner and outer motion.

일상을 돌아보면, 우리의 모든 행동은 Motion A와 Motion B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책을 읽거나 글을 쓰거나 커피를 마시는 순간은 Motion A의 영역이고, 자리를 옮기거나 걷는 순간은 Motion B의 작동이다. 요리를 하거나 운동을 하거나 춤을 출 때처럼, 두 움직임이 교차하는 상황에서는 더 복합적인 리듬이 만들어진다.

4. Reinterpreting the Symbol

4. 상징의 재해석

Viewed through this lens, the Vitruvian Man reveals an interesting duality. The X-shaped posture within the circle can be seen as Motion A – Intrinsic Movement, symbolizing rotation and internal focus. The T-shaped posture within the square represents Motion B – Translational Movement, emphasizing direction and expansion.

이 관점으로 보면 비트루비안맨은 흥미로운 이중 구조를 보여준다. 원 안의 X자 자세는 회전과 내향성을 상징하는 Motion A – 내재적 움직임으로, 정사각형 안의 T자 자세는 방향성과 확장성을 나타내는 Motion B – 외재적 움직임으로 읽을 수 있다.

Perhaps Vitruvius’s “ideal proportion” was not only about form, but also about balance between two movements — rotation and translation.

비트루비우스가 말한 ‘완전한 비례’는 어쩌면 형태의 비율뿐 아니라, 회전과 이동이라는 두 움직임의 균형에 대한 은유였을지도 모른다는 나만의 해석이다.

5. The Moment When Movement Becomes Space

움직임이 공간이 되는 순간

Ultimately, space is born from movement. The intersection of Motion A and Motion B defines how we occupy and experience a place. If architecture is a record of human action, then it is also the trace of how motion transforms into spatial form.

결국 공간은 인간의 움직임에서 비롯된다. Motion A와 Motion B가 교차하는 지점이 공간의 형태와 경험을 결정하며, 건축은 그 움직임이 남긴 흔적이자, 움직임이 공간으로 전환되는 과정의 기록이라고 생각한다.

IDEACOUCH LOGO

When Movement Becomes Space

움직임이 공간이 되는 순간

The Ideacouch logo visualizes this principle — the point wher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on meet. It captures that brief, dynamic moment when movement becomes space. This is not a conclusion, but an ongoing thought — a quiet attempt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space from a slightly different angle.

아이디어카우치의 로고는 바로 이 원리를 시각화한 것이다. 내재적 움직임과 외재적 움직임, 두 축이 만나는 그 지점 — 움직임이 공간으로 바뀌는 찰나의 형상을 담고자 했다. 이 생각은 완성된 결론이라기보다는, 공간과 인간의 관계를 조금 다르게 바라보려는 조심스러운 시도이며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고민이다.

Previous
Previous

Potato Alley Project

Next
Next

Privacy Tiers #1 : Freedom of Choice | 프라이버시 단계: 선택의 자유